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3대 복지통장 비교 | 희망키움통장Ⅰ·Ⅱ vs 내일키움통장 완전정리

by 정책 포커스 2025. 4. 21.

 

 

3대 복지통장 비교 정리

“근로·자활을 통해 자립을 준비하는 분들을 위한 대표 복지통장 3종 비교!”

희망키움통장Ⅰ은 생계급여 수급자,
희망키움통장Ⅱ는 차상위계층,
내일키움통장은 자활근로 참여자 대상입니다.

📊 주요 비교표

항목 희망키움통장Ⅰ 희망키움통장Ⅱ 내일키움통장
지원 대상 생계급여 수급자 중 근로소득 있는 자 주거·교육급여 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자활근로사업 참여자 (6개월 이상)
연령 기준 만 15세 ~ 64세 만 15세 ~ 64세 연령 제한 없음 (참여 가능자)
본인 저축액 월 10만 원 월 10만 원 월 10만 또는 20만 원 (선택)
정부 지원 방식 근로소득 기준으로 장려금 차등 적립 저축액 1:1 매칭 장려금 + 수익금 + 성과금 적립
지원금 규모 (최대) 약 2,200만 원 + 이자 720만 원 + 이자 최대 2,000만 원 이상
지원 조건 근로 지속, 저축 유지, 사례관리 참여 근로 지속, 저축 유지, 교육 이수 자활근로 참여 + 저축 유지 + 자립계획
지원 기간 3년 3년 최대 3년
지급 시기 3년 만기 후 3년 만기 후 3년 후 (자립계획 확인 후)
운영 기관 보건복지부 · 주민센터 보건복지부 · 주민센터 보건복지부 · 지역 자활센터

✅ 어떤 통장을 선택해야 할까?

● 생계급여 수급자라면희망키움통장Ⅰ
● 차상위계층(주거·교육급여)이라면희망키움통장Ⅱ
● 자활근로에 참여하고 있다면내일키움통장

📞 신청 문의

  • 자산형성지원 콜센터: 1566-0313
  • 공식 포털: hope.welfareinfo.or.kr
  • 신청처: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지역 자활센터

✅ 정책 브리핑 정리 TIP

이 3대 복지통장은 저소득 근로자 및 자활 참여자의 자산 형성을 도와주는 최고의 제도입니다.
각자의 소득·자격조건에 따라 통장을 선택하고
3년 동안 성실히 유지하면 큰 자립자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2025.04.19 - [분류 전체보기] - 희망키움통장Ⅰ | 자산 형성 지원 제도

2025.04.19 - [분류 전체보기] - 희망키움통장Ⅱ | 자산 형성 지원 제도

2025.04.19 - [분류 전체보기] - 내일키움통장 | 자산 형성 지원 제도

2025.04.19 - [분류 전체보기] - 청년희망키움통장 | 자산 형성 지원 제도

2025.04.19 - [분류 전체보기] - 청년저축계좌 | 자산 형성 지원 제도

 

관련 키워드: 희망키움통장 비교, 내일키움통장, 복지통장 종류, 자산형성지원사업, 자활근로 복지

※ 본 콘텐츠는 2025년 4월 기준 복지로 및 보건복지부 자산형성지원사업 공식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